2025년 10월 19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0월 19일 경제 및 금융 시장 분석 보고서
### 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 점검
본 보고서는 2025년 10월 19일 기준으로 종합된 경제 및 금융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거시 경제 환경 변화와 주요 산업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 증시:
* 코스피 최고치 경신 및 4000선 기대감: 10월 17일, 코스피 지수는 3794.87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비록 트럼프발 관세 변수와 고환율이라는 난제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4000선 돌파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 증권사 실적 호조세 지속: 3분기 일평균 코스피 거래대금이 전년 동기 대비 40% 급증한 31조 5300억 원을 기록함에 따라, 주요 증권사들의 3분기 영업이익이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대주주 양도세 기준이 50억 원으로 원상 복구되면서 9월부터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였고, 이는 거래대금의 고점 통과(peak-out) 우려를 불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테마주 동향: 코스닥 시장에서는 리튬 관련주(중앙첨단소재, 후성, 강원에너지, 포스코퓨처 등), 2차전지 소재·부품 관련주(더블유씨피, 이닉스, 엘앤에프 등), 폐배터리 관련주(에코프로, 코스모화학, 나인테크 등)가 시장의 주목을 받으며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더불어 수소차 관련주 역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 주요 경제 지표:
* 소비자심리지수(CCSI): 110.1을 기록하며, 지난 8월 최고치(111.4)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소비 심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금 시세: 10월 19일 0시 기준,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금 1돈(3.75g)의 시가는 745,988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주요 뉴스 및 산업 동향:
* 유통가 동향: 대형마트 3사(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는 셋째 주 일요일인 오늘(19일) 정상 영업에 들어갑니다. ‘AI 물가안정 프로젝트’를 통해 제주 햇밀감, 샤인머스캣 등 주요 상품에 대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며, 다음 주부터 예상되는 초겨울 날씨에 대비하여 의류 및 침구류 판매 호조가 기대됩니다.
* 비급여 의약품 관리 문제: ‘위고비’와 같은 비급여 의약품이 어린이 및 임신부에게 처방되는 등 허술한 관리 실태가 드러나면서 오남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 시 투약 기준 준수 여부에 대한 규제 법적 근거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동향:
* 미·중 무역 마찰 고조: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다시금 고조되고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전쟁 관련 발언 등 지정학적 긴장이 완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금 매입 지속: 이러한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꾸준히 금 매입을 지속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환율 및 가상자산 시장:
* 환율: USD/KRW는 1,421.57원, JPY/KRW는 100엔당 9.416원을 기록하며 고환율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가상자산: 비트코인(BTC/KRW)은 152,408,100원을 기록하며, 고점 대비 상당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시장 총평:
현재 금융 시장은 코스피의 견조한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 갈등 심화 및 고환율이라는 거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 및 2차전지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주목할 만하며,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금에 대한 관심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대/우려 종목/분야:
* 기대: AI 관련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기업, 2차전지 소재 및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기업,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업.
* 우려: 고환율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수출주, 대형마트 등 규제 강화 및 경기 불황의 영향을 받는 유통업종, 지정학적 리스크에 취약한 일부 산업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