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08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0월 08일 경제 및 금융 시장 분석: 불확실성 속 기회 모색

### 오늘 시장 동향 요약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지속: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며, 9월 비농업 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연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뉴욕 증시의 혼조세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이어지는 양상입니다.
* AI 테마 동력 지속 및 기술주 강세: 인공지능(AI)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면서 기술주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뉴욕 증시 하락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양자컴퓨터 분야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 소식은 관련 상장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 귀금속 시장의 뚜렷한 상승세: 국제 은값이 14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하며 은 채굴 관련 ETF로의 자금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고용 둔화와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 유럽 증시 상승세 기록: 유로스톡스50, 영국 FTSE100, 독일 DAX, 프랑스 CAC40 등 유럽 주요 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내며 투자 심리 회복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국제 유가 약세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이 반영되며 국제 유가는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 미국 증시 및 정책 동향

* 뉴욕 증시, 셧다운 우려와 AI 기대감 속 혼조세: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지수는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AI 테마의 상승 모멘텀 사이에서 엇갈린 움직임을 보이며 장을 시작했습니다.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6,685.30 (-0.02%)
* S&P 500 지수: 6,741.75 (+0.02%)
* 나스닥 종합지수: 22,960.90 (+0.08%)
* 은 채굴 ETF, 투자자금 집중: 국제 은값의 사상 최고치 경신에 힘입어 미래에셋 글로벌X 은 채굴 ETF는 연초 대비 116%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해당 섹터로의 투자자금 유입이 뚜렷하게 관찰되고 있습니다.
*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미국 정부 셧다운이라는 정책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의 신중론에도 불구하고, FOMC 점도표는 연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공백, 금리 결정 불확실성 가중: 미국 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면서, 연준의 향후 금리 결정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한국 경제 및 금융 시장

* 청년층 경제적 어려움 가중: 한국의 청년층은 체감소득의 하락체감물가의 급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외식비, 숙박비, 식료품 등 필수 소비재 가격 상승은 물론, 주거비, 생활비, 자기계발비 부담까지 더해져 청년 가계에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행 총재, 경제 전망의 복합성 강조: 과거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 환율, 정부 정책, 그리고 ‘사람의 마음’ 등 다층적인 변수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언급하며, 경제 전망의 복합성과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습니다.
* 고금리 통장, ‘금리 노마드’ 현상 심화: 연 7%대의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고금리 통장을 찾는 ‘금리 노마드’ 현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총수신 잔액이 지난 3월 대비 4개월 만에 100조 원을 돌파하는 등, 금리 인하 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 상반된 전망 엇갈림: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 제기와 함께,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집값 폭등 가능성을 제기하는 등 부동산 시장에 대한 상반된 시각이 존재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시장

* 주요 통화 환율:
* USD/KRW (달러/원): 1,409.92 KRW
* JPY/KRW (엔/원): 9.378958 KRW
* 암호화폐 시장, 상승세 지속: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 속에서도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비트코인의 상승세를 견인하며, 일시적으로 12만 6천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곰시장 랠리’로 평가하며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 (BTC/KRW): 171,922,900 KRW
* 이더리움, 1만 달러 돌파 전망: AI 챗봇 및 전문가들은 이더리움이 1만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그레이스케일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ETP 출시 등이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알트코인 시장, 유동성 유입 확대: 최근 일주일간 리플(XRP),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등 알트코인 시장에 3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되며 유동성과 신뢰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미국 재정적자와 금리 인하 기대감은 비트코인 및 금과 같은 ‘비정부 발행 자산’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달러 약세 또한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총평 및 투자 전망

현재 시장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연준의 금리 결정에 대한 경제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국면입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금, 은과 같은 안전자산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가속화되는 추세입니다.

기대되는 분야로는 AI 기술 발전의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기술주양자컴퓨터 관련 기업들이 있으며, 귀금속 채굴 관련 ETF 또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국내 청년층의 가계 부담 가중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단기적인 투자 심리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거시 경제 지표 변화 및 정책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