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일간 경제 리포트 – AM
## 2025년 10월 04일 경제 및 금융 시장 동향 보고서: 셧다운 불확실성 속 낙관론 확산
금일 경제 및 금융 시장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의 장기화라는 거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시장 기대감이 지수 상승을 견인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은 투자 심리 회복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으며, 국내 증시 또한 특정 섹터의 강세로 주목받았습니다.
### 주요 시장 동향 분석
* 미국 증시: 연방정부 셧다운의 지속에도 불구하고,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 등 주요 3대 지수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견조한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연준(Fed)의 연내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9월 비농업 고용보고서 발표 연기는 불확실성을 일부 가중시켰으나, 전반적인 강세 흐름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 한국 증시: 코스닥 시장에서는 반도체 재료·부품, STO(토큰증권 발행), 2차전지,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 관련 종목들이 두드러진 강세를 보이며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이는 해당 산업들의 성장 잠재력과 정책적 지원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 환율: 미 달러화는 셧다운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와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유로-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았으며, 달러-엔 환율은 소폭의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 암호화폐: 월마트 소유 ‘원페이’ 앱의 암호화폐 거래 지원 소식과 일본 기업의 솔라나(SOL) 비축 계획, 리플(XRP)의 현물 ETF 승인 기대감 등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비트코인 시세 상승을 동반하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를 고무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섹터별 심층 분석
* 국내 증시 – 신성장 동력 섹터 부각:
* 반도체 재료·부품 섹터는 기술 경쟁 심화와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STO(토큰증권 발행) 관련 기업들은 새로운 금융 상품 출시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목받았습니다.
* 2차전지, ESS, 전기차 관련 기업들은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 추세와 맞물려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 미국 증시 – 금리 인하 기대감과 셧다운의 상존:
* 연준의 10월 및 12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시장 참여자들의 주요 투자 판단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 9월 ISM 서비스업 PMI 발표는 미국 경제 활동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 정부 셧다운의 지속 기간 및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시장의 면밀한 주시가 요구됩니다.
### 글로벌 경제 주요 이슈
* 미국 셧다운 장기화: 정부 기능 마비 우려와 함께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우에다 총재는 일본 경제와 물가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국내 산업안전 정책: 중대재해 관련 금융권 여신심사 기준 개편 논의는 기업 경영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일부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 종합 시장 총평 및 전망
금일 시장은 셧다운이라는 단기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특정 섹터의 성장성에 대한 낙관론이 우세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향후 시장은 셧다운의 해소 여부와 미국 경제 지표의 변화, 그리고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에 따라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기대할 만한 종목/분야: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주 및 성장주의 상승세 지속 가능성을, 한국 증시에서는 반도체, 2차전지, STO 관련 신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두각을 예상합니다.
우려할 만한 분야: 연방정부 셧다운의 장기화는 미국 경제 전반의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의 재부상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하며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