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09월 23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미·중 경제 패러독스와 한국 시장의 미래 전략: 엇갈리는 신호 속 투자 전략 모색

* 미국 증시의 역설적 상승: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에도 불구하고,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매수세가 두드러졌으며, 나스닥은 2.21% 급등했습니다. 그러나 장 초반 하락 출발과 높은 주택 가격, 실업률 (4.3%), 국가 부채, 임금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문제는 미국 경제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냅니다. 이는 단기적 상승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 한국 증시의 불확실성: 원/달러 환율글로벌 금리 환경의 불확실성 속에 코스피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코스닥은 온디바이스 AI 관련주 강세와 엘앤씨바이오의 주가 상승 (5.16%)이 눈에 띄는 가운데, 시장 전반의 흐름을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강원지역 주택 경매 급증 현상은 부동산 시장의 위험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의 발언은 기준금리 인상만으로는 부동산 가격 안정이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정부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글로벌 경제의 양극화: 미국의 경제적 어려움과는 대조적으로, 대만안정적인 물가낮은 임금을 유지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중국실물자산 토큰화 사업 중단 권고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의 양극화는 투자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신중한 접근을 요구합니다.

*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리플 (XRP)ETF 출시스테이블코인 출시 소식에도 불구하고, 연준 FOMC 금리 인하 발표 이후 급락하는 등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BTC) 역시 $111,400 지지선 돌파 여부에 따라 장기 약세장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 거시경제 지표: S&P500 (6,664.36, +0.49%), 나스닥 (22,631.48, +0.72%) 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USD/KRW 환율 (1,396.23 KRW) 상승과 비트코인 가격 하락은 시장 불안감을 반영합니다.

총평: 미국 증시의 단기적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근본적인 취약성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투자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신중함을 요구합니다.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휘둘리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펀더멘털과 성장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향후 AI 관련 기술주안정적인 배당주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으나, 부동산고금리에 민감한 종목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