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2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9월 22일: 상반된 시장 흐름 속 미래 전망 모색
* 한국 증시: 코스피는 0.46% 하락 마감(3445.24)하였으나, 넥스트레이드 거래 중단으로 인한 66개 종목(코스피 11개, 코스닥 55개) 거래 중지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 발생. 거래 대상 종목은 650개 내외로 조정될 예정입니다. 소비자 심리지수는 8월 111.4로 상승, 2018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소비 여건을 시사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역시 100.8로 기준선을 상회하며 매수세 우위를 보였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시작으로 소비심리 추가 개선이 기대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소폭 상승하며 원전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모두 상승세를 기록하며 장 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특히 기술주 매수세가 집중되었으며, 다우존스는 1.05%, S&P500은 1.22%, 나스닥은 2.21% 상승했습니다. 미국 PCE 물가의 예상 밖 상승은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야기합니다. 암호화폐 ETF 출시는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구글과 리플의 경쟁 심화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 일본 증시: 주주가치 제고 정책과 명목 GDP 증가에 힘입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닛케이225 지수는 명목 GDP 및 엔-달러 환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과 GDP 디플레이터 상승은 일본 경제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USD/KRW 환율은 변동성을 보였으며, BTC/KRW 역시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습니다. 데이터 일부 누락은 시장의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한미 관계: 10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예정으로 양국 간 경제 협력 강화 및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감이 공존합니다.
총평: 미국 증시의 강세와 기술주 중심의 투자 확대는 전반적인 시장의 위험 선호도를 반영합니다. 반면, 한국 증시는 넥스트레이드 거래 중단 사태 등 예상치 못한 변수에 따라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PCE 물가 상승 및 연준의 정책 결정에 따라 시장의 방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대/우려 종목/분야: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라 금리 민감도가 높은 기술주 및 성장주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과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국에서는 소비 심리 개선과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는 소비재 및 내수 관련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 넥스트레이드 사태의 영향을 받는 종목들에 대한 투자는 신중해야 합니다. 원전 관련 종목은 정부 정책 및 시장 수요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