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08월 14일 일간 경제 리포트 – AM

## 2025년 8월 14일: 글로벌 증시 강세 속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

글로벌 증시는 강세를 지속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한국 경제는 성장 둔화 우려와 건설 경기 침체 지속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증시 강세:
* 미국: 다우존스(1.10% 상승, 44,458.61), S&P 500(1.13% 상승, 6,445.76), 나스닥(1.39% 상승, 21,681.9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미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 일본: 닛케이225 지수 또한 1.30% 상승(43,274)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한국: 코스피(1.08% 상승, 3224.37)와 코스닥(0.86% 상승, 814.10)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의 순매수(코스피 200선물시장 3,742억원)가 시장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알테오젠의 코스닥 시총 1위 유지, 펩트론의 급등에 따른 시총 3위 등극 등 시장 내 변동성 또한 두드러졌습니다. 지투지바이오교보18호스팩의 상장도 눈에 띄는 이벤트였습니다.

* 미국 경제 지표 및 정책: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7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전망치 2.8%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둔화세를 지속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 미국 금리: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9월 금리 0.5%p 인하 압박과 트럼프 대통령의 차기 연준 의장 후보 검토는 시장에 불확실성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한국 경제 상황:
* 한국 경제 성장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며 성장 둔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 건설 경기 침체: 건설 경기 침체는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금 거래량: 올해 상반기 금 거래량은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기타:
* 파킹형 ETF: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파킹형 ETF로의 자금 유입이 관찰되었습니다.

* 환율 및 코인: USD/KRW 환율은 1,379.29 KRW ~ 1,383.09 KRW, JPY/KRW 환율은 9.335 KRW ~ 9.359242 KRW 사이에서 변동했습니다. 비트코인(BTC/KRW) 가격은 오전 3시 기준 168,072,800 KRW였으나, 오전 9시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총평: 현재 글로벌 증시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한국 경제의 성장 둔화 우려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향후 미국 연준의 금리 결정과 한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의 효과 여부가 시장의 향방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미국 기술주금 관련 종목은 주목할 만하지만, 건설 및 부동산 관련 종목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