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2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8월 12일: 국내외 경제 시장 동향 분석 및 전망
* 국내 증시: 코스피 지수는 0.10% 하락 마감(3206.77). 두산에너빌리티의 약진으로 코스피 시가총액 7위에 등극하며, 베트남 원전 협력 확대 추진 소식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으나, 안착 여부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고배당 금융주 투자 ETF 등 3종목의 신규 상장은 투자 다변화에 대한 수요 증가를 반영합니다. 7월 먹거리 물가의 3.5% 상승은 향후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합니다. 청년 적금 정책의 불확실성은 정책 일관성 부족을 지적하며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위한 특별 지원 및 특례 보증 확대 정책은 경기 부양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 미국 증시: S&P500 및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부담, 차익실현 욕구, 추동력 약화 등의 위험이 상존합니다. 7월 CPI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6월 대비 상승률 확대 예상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킵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연준의 금리 결정 독립성 유지는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미중 관세 휴전 만료 시한이 다가오면서 무역 갈등 재점화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S&P500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커버드콜 ETF 출시는 시장의 위험 관리 노력을 보여줍니다. 미국 SEC의 리플(XRP) 기반 ETF 승인 여부 최종 검토는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환율 및 코인 시장: USD/KRW 환율은 1380원대 중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JPY/KRW 환율 또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BTC/KRW)의 일부 데이터 부재는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 기타: 증권사 순이익은 증시 호황과 해외투자 성과에 힘입어 역대급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총평: 국내외 증시는 고점에 대한 부담과 불확실한 거시경제 지표 발표를 앞두고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CPI 발표 결과와 연준의 향후 금리 결정에 따라 시장 방향이 크게 좌우될 전망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두산에너빌리티와 같은 특정 업종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과 고배당 ETF에 대한 투자 관심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 물가 상승 및 미중 무역 갈등 재연 가능성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