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1월 04일 시장 분석: 거품 우려 속 역대 최고치 경신 릴레이, 향방은?
오늘(2025년 11월 04일) 금융 시장은 역대 최고치 경신 릴레이와 함께 유동성 거품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 및 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각국 증시와 주요 자산 가격의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주의를 요하고 있습니다.
### 주요 시장 동향 및 분석
*   한국 증시, 4,200선 안착 및 코스닥 최고치 경신:
    *   코스피는 사상 최초로 4,200선을 돌파하며 4,221.87로 거래를 마감, 전일 대비 2.78% 상승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다시 썼습니다. 이는 대형 반도체주의 견고한 상승세가 지수 전반을 이끈 결과로 분석됩니다.
    *   코스닥 또한 장중 역대 최고치인 914.91을 기록한 후 914.55로 마감하며 1.57% 상승했습니다.
    *   두산에너빌리티와 같은 일부 개별 종목의 강세도 눈에 띄었습니다.
    *   향후 반도체 외 ‘조방원’ 섹터 및 필수 소비재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시되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 500 및 나스닥 사상 최고치 랠리:
    *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47,562.87로 소폭 상승했으며, S&P 500 지수는 6,840.20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나스닥 종합지수 역시 23,724.96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술주의 강세를 뒷받침했습니다.
    *   애플, 아마존 등 기술 기업의 호실적과 해외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이 뉴욕 증시 상승의 주요 동인이었습니다.
    *   리플(XRP) ETF 상장 기대감이 고조되는 반면, 이더리움(ETH) ETF에서는 3일 연속 자금 이탈이 관찰되었습니다.
*   글로벌 금리 및 환율 변동성 확대:
    *   미국의 금리 인하 확률은 25bp 인하 기준으로 68.8%까지 낮아졌으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물가 안정 확실 확보 시까지 금리 인하 없다”는 발언은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습니다.
    *   CBOE 변동성지수(VIX)는 17.44로 상승하며 시장의 경계감을 반영했습니다.
    *   엔화 가치는 다카이치 내각 출범 이후 금리 인상 예상 시기가 지연되면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달러 대비 154.17엔까지 하락했습니다.
    *   달러/원 환율은 1,427.17 KRW로, 달러 강세 흐름을 지속했습니다.
*   중국발 금 시장 정책 변화 및 거품 우려 확산:
    *   중국 국세청의 금 거래 세금 혜택 전면 폐지는 인민은행의 지속적인 금 매입과 맞물려 국제 금융 시장에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결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초대형 금광 발견 소식과 중국 정책 변화가 겹치면서 뉴욕 증시 금 ETF에서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지속 여부와 연방 대법원의 관세 관련 심리 결과 또한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   이러한 일련의 현상들은 모든 금융 상품의 과열(Everything Rally)에 대한 거품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   기타 시장 동향:
    *   비트코인(BTC/KRW)은 152,359,900 KRW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   마이클 버리의 ‘카산드라’로의 프로필명 변경은 시장에 대한 그의 경고 메시지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시장 총평 및 전망
현재 시장은 기술 혁신과 유동성 장세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며 밸류에이션 부담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 정책의 불확실성 증대, 중국발 금 시장 정책 변화, 그리고 모든 자산에 대한 과열 경고는 언제든 조정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기대할 만한 분야로는 한국 증시에서 반도체 후공정(OSAT) 및 AI 관련 부품 섹터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주목할 수 있으며, 필수 소비재 섹터 역시 금리 변동성에 대한 상대적 안정성으로 인해 관심이 필요합니다. 반면, 단기 급등한 성장주 및 실물 경제 지표와 괴리된 고평가 자산은 가격 조정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