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15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0월 15일 경제 시장 분석: 지정학적 리스크와 거시경제 전망의 교차점

### 주요 경제 및 금융 시장 동향

* 미중 무역 갈등 격화: 미국이 중국 선박에 입항료를 부과하며 미중 무역 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는 뉴욕 증시, 달러 환율, 국채 금리, 금값, 암호화폐 등 전반적인 금융 시장에 상당한 변동성을 야기했습니다. APEC 정상회담 취소 가능성이 제기되며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고조되었습니다.
* 영향: 미국 국채 시장에서는 채권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미 주요 주가지수 선물은 급락 후 국채 금리 하락에 동반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 기업의 경우, 한국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 발표는 글로벌 공급망기업 경영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 IMF, 한국 성장률 소폭 상향 및 물가 안정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0.1%p 상향 조정했으며, 물가 상승률은 올해 2.0%, 내년 1.8%로 전망하여 점진적인 안정세를 예상했습니다. 일본의 경우 올해 1.1%, 내년 0.6% 성장이 전망되었습니다.
* 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지정학적 리스크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추가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유화적 선회에도 불구하고 국제 금값은 4,137.2달러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 증시 및 주요 지수 움직임

* 미국 증시, 단기 급락 후 반등: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전일 급락세를 만회하며 상승 전환했습니다.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46,067.58 (1.29% 상승)
* S&P500 지수: 6,654.72 (1.56% 상승)
* 나스닥 종합지수: 22,694.61 (2.21% 상승)
* 한국 코스닥, 양자암호 관련주 강세: 코스닥 시장에서는 양자암호 및 양자컴퓨팅 관련 종목들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한국 경제 및 산업별 동향

* 자영업자, 복합적 어려움 직면: 경기 침체 장기화, 대출 금리 상승, 임대료 인상, 소비 위축 등 복합적인 악재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 정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출 잔액 또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 한국 산업은행, 녹색채권 발행: 한국 산업은행은 5천억 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여 친환경 프로젝트 지원에 나섰습니다. 이는 ESG 투자 확대 움직임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 부동산 시장, 서울 ‘한강벨트’ 수요 회복: 서울 부동산 매매수급지수가 103.4로 상승하며 6·27 대책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특히 ‘한강벨트’ 지역의 수요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확장 재정정책 논의 대두: 이탈리아의 재정건전성 회복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경제에서도 확장 재정정책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정책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 환율 및 코인/암호화폐 시장

* 주요 환율:
* USD/KRW: 1,426.07 KRW
* JPY/KRW: 9.349423 KRW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BTC/KRW): 161,808,400 KRW
* 암호화폐 시장 전망: 미국 금리 정책 완화 가능성달러 약세 전망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플(XRP)의 향방이 주목됩니다.
* 리플 XRP ETF 승인 연기에도 불구하고 발행사들의 상장 준비는 지속되고 있으며, 스텔라루멘(XLM) ETP 출시 등 기관의 상품 다양화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 규제 당국의 움직임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 법무부의 비트코인 몰수 추진은 디지털 자산 시장의 규제 환경 변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기업들의 암호화폐 보유 추세는 상반된 모습을 보입니다. 브레라홀딩스의 솔라나 매입과 같은 적극적인 투자 사례와 더불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설문조사에서 투자자의 76%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결과는 시장의 양극화를 보여줍니다.

총평: 현재 시장은 미중 무역 갈등이라는 거시적 지정학적 리스크와 IMF의 소폭 상향된 한국 경제 성장 전망이라는 긍정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상충하는 가운데, 각국의 통화 정책 방향지정학적 긴장 완화 여부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기대/우려 종목/분야:
* 기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분야는 기술 혁신과 함께 꾸준한 성장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프로젝트 관련 녹색채권 및 관련 산업은 ESG 트렌드 확산과 더불어 주목할 만합니다.
* 우려: 자영업자 관련 업종 및 고금리에 취약한 산업은 경기 침체 장기화 및 금리 상승 부담으로 인해 당분간 어려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미중 무역 갈등 심화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글로벌 공급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