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13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0월 13일 경제 및 금융 시장 분석: 글로벌 불확실성 속 변동성 확대

### 주요 시장 동향 및 분석

* 글로벌 경제: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시장 전반을 지배했습니다. 미국 대통령의 SNS 발언과 중국의 희토류 관련 정책 발표는 즉각적인 시장 충격을 야기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고조시켰습니다.
* 증시:
* 미국 증시: 나스닥 지수는 미중 무역전쟁 우려와 대통령 발언 여파로 3.56% 급락하며 22204.43에 마감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 상당 부분이 증발했으며, AI 관련 산업은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 중심의 자본 지출 확대로 여전히 유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한국 증시: 코스피 지수는 사상 최고치인 3,610.60을 돌파했으나, 상승세가 반도체 종목에 집중되며 지방 상장기업들의 주가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원자력발전 관련주들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암호화폐 시장: 대통령 SNS 발언의 영향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했습니다. 비트코인은 단시간에 1만 달러 이상 급락했으며, 이더리움 및 주요 알트코인들은 평균 60~70%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제이피모건은 솔라나 현물 ETF 출시 기대감이 이미 시세에 선반영되었다며 비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 상품 시장: 글로벌 관세전쟁 및 지정학적 긴장이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심화시켰습니다.
* 환율: USD/KRW 환율은 1,421.51 KRW, JPY/KRW 환율은 9.29 KRW를 기록했습니다.
* 국내 경제:
* 자영업자 부채 및 연체율: 자영업자 부채가 1070조 원으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영세 소상공인의 연체율은 12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국내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 은행 대출 정책: 연말 대출 절벽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며, 은행들은 비대면 창구 축소 및 우대금리 축소를 통해 대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조선업: 9월 기준 한국의 고부가 선박 비중은 중국의 2배에 달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경제 성장률: 한국 경제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금리 및 통화량 조절을 통한 경기 부양을 위한 발상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 시장 총평 및 전망

현재 시장은 미중 무역 갈등의 파고와 이에 따른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안전자산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거시 경제 지표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될 것입니다.

기대해 볼 만한 분야로는 AI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원자력발전 관련주의 모멘텀을 꼽을 수 있습니다. 반면, 자영업자 부채 증가 및 연체율 상승은 국내 경제의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