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09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10월 09일 경제 및 금융 시장 브리핑: 상승세 속 숨 고르기, 거시 변수 주목

### 주요 동향 요약

* 국내 증시(코스피)의 기록적 상승세 지속:
* 코스피 지수가 2.70% 상승하며 3549.21 포인트로 마감, 사상 최고치 경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이러한 강세장은 추석 이후 IPO 시장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특히 두산퓨얼셀은 외국인 및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향후 주가 흐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 3500선 돌파와 함께 배당세 인하에 대한 여야 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연말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금 가격의 높은 상승률(48%)이 코스피 지수 상승률(48%)과 동률을 이루며,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에 대한 부각도 함께 나타나고 있습니다.

* 미국 증시의 단기 조정 국면 진입:
* 뉴욕증시 3대 주요 지수(다우존스, S&P500, 나스닥)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 이는 단기 급등세에 따른 건전한 조정으로 해석되며, 특히 오라클의 예상치 못한 영업 마진 부진이 기술주 중심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 AI 업계의 인프라 투자 열기가 일시적으로 진정되는 조정 국면으로 판단됩니다.

* 일본 증시(닛케이)의 경계감 반영:
* 닛케이225 지수가 0.45% 하락하며 47,734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 이는 단기 급등세에 따른 시장의 경계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 당선 이후 엔/달러 환율 상승 및 일본 증시의 동반 상승세가 나타났으나, 이날은 숨 고르기 양상을 보였습니다.

* 주요 거시 경제 및 산업 동향:
* 미국 연준(FOMC 의사록)은 고용 및 물가 지표를 기반으로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이며, 금리 인하의 “중대한 차질”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연방 정부 셧다운 관련 불확실성도 언급되었습니다.
* 일본 금융 정책 관련,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총재는 2년 연속 물가 상승을 인플레이션으로 규정하며 정부의 재정 및 금융 정책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아베노믹스 지지자로, 금리 인상에 반대하는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 AI 및 반도체 산업에서는 오픈AI CEO의 방한 등 AI 산업 전반에 걸친 투자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통상 분야에서는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간의 관세 전쟁이 언급되며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시사했습니다.

* 환율 및 코인 시세 동향 (2025년 10월 09일 18:00 기준):
* USD/KRW: 1,414.57 KRW
* JPY/KRW: 9.30 KRW
* BTC/KRW (비트코인): 175,598,100 KRW

시장 총평: 현재 국내 증시는 뚜렷한 상승세를 유지하며 연일 신고점을 경신하고 있으나, 미국 증시의 조정 양상은 글로벌 시장의 피로감을 시사합니다. 거시 경제 지표와 주요국 통화 정책의 변화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대/우려 종목/분야:
* 기대: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꾸준한 투자 논의 속에서 성장 모멘텀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배당세 인하 기대감은 연말 배당 관련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우려: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연준의 신중론은 기술주 중심의 고평가된 종목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통상 마찰 심화는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