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02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불확실성 속 자산별 차별화: 셧다운, 물가, 그리고 대체 자산의 부상

### 오늘의 주요 시장 동향

* 미국 증시: 연방정부 셧다운의 시작과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경고로 인해 불확실성이 고조되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나 S&P 500과 나스닥 지수는 하락하며 보합권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민간 고용 지표의 노동시장 냉각 시사 또한 시장 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 한국 증시: 반도체 업종의 강세에 힘입어 코스피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신규 상장한 명인제약의 성공적인 데뷔가 시장 분위기를 일부 견인했습니다. 코스닥 지수 역시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 주요 리스크 요인: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의 장기화 가능성과 이로 인한 경제 지표 발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었습니다. 더불어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식료품 물가 상승에 대한 정부의 압박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안전자산의 약진: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비트코인은 11만 6천 달러를 돌파하며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금값 역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대체 자산의 매력이 부각되었습니다.

### 파트별 상세 분석

* 미국 증시:
* 연방정부 셧다운의 본격화로 인해 뉴욕 증시는 심리적 불안감 속에서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 ADP 보고서를 통해 확인된 9월 민간 고용 감소는 노동시장의 냉각 조짐을 명확히 시사하며, 향후 금리 정책 및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습니다.
* 주요 지수 선물 역시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며 향후 시장의 하방 압력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한국 증시:
* 엔비디아의 AI 파트너십 강화 및 마이크론의 실적 기대감이 반도체 섹터 전반의 투자 심리를 고취시켰습니다.
* 특히, 명인제약(317450)의 코스피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높은 상승률은 제약/바이오 섹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재확인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하며 투자 심리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 거시 경제 지표 및 정책:
* 한국 정부는 높은 식료품 물가 상승률을 공식적으로 지적하며 식품 및 유통업계에 대한 정책적 압박을 강화했습니다. 이는 해당 업종의 수익성 및 가격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10월 15일로 예정되었던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가 불투명해지면서, 향후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예측하는 데 난항이 예상됩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명확한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이 채권 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분석은, 향후 금리 변동성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 환율 및 국제 동향: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한 달러화 약세는 유로화 및 엔화에 상대적인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금값의 사상 최고치 경신비트코인의 안전자산 부각은 지정학적 불확실성 및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의 대체 자산의 위상 강화를 보여줍니다.

### 총평 및 전망

현재 시장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라는 예측 불가능성식료품 물가 상승이라는 구조적 부담 속에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술주 및 반도체 섹터는 여전히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으나, 밸류에이션 부담과 금리 변동성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반면, 금 및 비트코인과 같은 안전자산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분산 효과를 위해 주목할 만합니다. 더불어, 식품 및 유통 업종은 정부의 물가 안정 압력으로 인해 당분간 수익성 개선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