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10월 01일 일간 경제 리포트 – AM

## 2025년 10월 01일 경제 동향 분석: 불확실성 속 기회 모색

금일 경제 및 금융 시장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불확실성과 기회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는 글로벌 금융 시장 전반에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분석 내용:

* 증시:
* 한국 증시에서는 명인제약의 코스피 상장과 아로마티카의 코스닥 상장 추진 소식이 있었으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로 코스피는 약보합 마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미국 증시는 S&P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가 강세로 마감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국내 기업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나스닥 상장 가능성이 제기되며 해외 상장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 지수 및 거시 경제:
*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대출 및 집값 불안정을 경고하며,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하되 ‘조건부 완화’ 스탠스를 재확인했습니다. 주택가격전망지수의 지속적인 상승은 금융 불균형 심화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 8월 소매판매액은 감소했으나 전산업생산은 유지되었으며, KDI는 건설 경기 부진 및 무역 불확실성을 이유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8.1%)했습니다. 휴게소 식음료 가격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며 체감 물가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S&P500 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국채 금리 상승은 시장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 주요 뉴스 및 동향:
* 미국 공연 기획사 CEO는 물가 상승과 티켓 가격 간의 괴리를 문제로 지적했습니다.
*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은 물가 부담 속에서도 합리적인 가격과 소비 쿠폰으로 인해 활기를 띠었습니다.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경제 지표 발표 취소 가능성 등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 국제 금융 시장은 연준의 금리 스탠스를 토대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 재조정 가능성이 높으며, 금리 인하 시 달러 약세와 암호화폐 유동성 유입이 예상됩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 원/달러 환율은 1,403.83 KRW를 기록했으며, 원/엔 환율은 100엔당 9.467 KRW를 나타냈습니다.
* 비트코인 가격은 160,971,300 KRW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암호화폐들은 최고가 이후 가격 조정 국면에 진입했으나,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유동성 유입을 기대하게 합니다. 테더의 대규모 비트코인 매수 소식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시장 총평 및 전망:

현재 시장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라는 거시적 불확실성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성에 대한 민감한 반응이 교차하는 국면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리 인하 기대감은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자산으로의 유동성 재분배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대/우려 종목/분야:

* 기대: 기술주(특히 해외 상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 암호화폐 관련 섹터, 방어주(물가 상승 시 수혜가 예상되는 일부 소비재)
* 우려: 고금리 환경에 취약한 부채 비율이 높은 기업, 미국 셧다운 장기화 시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산업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