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09월 20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9월 20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 한국 경제의 딜레마

* 증시 동향: 한국 코스피는 0.46% 하락한 3,445.24로 마감, 시총 상위 10개 기업 중 9개가 하락세를 보였으나 두산에너빌리티는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미국 다우존스S&P 500 지수는 미·중 정상 통화 내용에 대한 기대감 속에 상승 출발했습니다.

* 주요국 경제 지표: 미국은 고용시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물가 상승률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정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0%대로 낮게 설정되었고, 내년 전망치 또한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며, 소비자물가는 2%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고금리, 고물가, 일자리 감소로 인한 내수 침체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 금융 시장 변수: 금 시세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으나, 향후 금리 인하 속도와 폭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솔라나(SOL)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산업용 전기요금의 급격한 인상(지난 5년간 75% 상승)과 4분기 가정용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은 경제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융 안정을 위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할 필요성을 언급하며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고심을 드러냈습니다.

* 국제 정세 및 기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으나, 일본의 신자유주의 정책 실패 사례는 경제 정책의 재검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오뚜기 ‘더 핫 열라면’의 미국 진출은 긍정적인 소식이나, 확장 재정 정책의 필요성과 더불어 재정 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미국 달러/한국 원 환율은 1,396.58 ~ 1,397.08 KRW, 일본 엔/한국 원 환율은 9.420 ~ 9.424 KRW로 나타났습니다. 비트코인/한국 원은 161,160,400 ~ 161,922,500 KRW에 거래되었습니다.

총평: 현재 글로벌 경제는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의 지속,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높은 불확실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는 성장 둔화 우려와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고민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관련 업종의 주가 움직임과 금 시장의 변동성에 주목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의 효과와 글로벌 경제 회복 시점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반면, 높은 금리와 경기 침체 우려는 부동산 시장 및 관련 업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