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3일 일간 경제 리포트 – PM
## 2025년 9월 3일: 국내 증시 상승세 속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
* 국내 증시: 코스피 지수는 0.94% 상승 마감하며 긍정적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흐름이 주목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민생 및 경제 집중 선언과 소비쿠폰 효과 기대감, 신성장 산업 지원 정책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울산시의 여성 기업 지원 정책 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는 집값 상승 압력을 우려하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8월 소비자물가는 1.7% 상승했으며, 9월에는 2% 수준의 상승이 예상됩니다.
* 미국 증시: 다우존스(-0.20%), S&P500(-0.64%), 나스닥(-1.15%) 지수가 하락 마감하며 시장 변동성 확대를 보였습니다. AI 칩 관련주(엔비디아, 브로드컴)의 하락세와 퀀트 전략 부상은 시장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미국 고용보고서의 예상치 못한 폭발적인 수치와 여전히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 지표(CPI, PPI, PCE)는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ISM 제조업 PMI 발표와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 후보 인준 절차 또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입니다.
* 글로벌 시장 동향: 일본에서는 김정은 방중 열차 관련 건강 정보 유출 차단 노력이 보도되었으며, 유럽 주요국의 30년 만기 국채 금리 급등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합니다. 리플의 XRP 방출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야기했습니다. 영국 및 독일 국채 금리 역시 최고치를 기록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드러냅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USD/KRW 환율은 1,392.94 KRW, BTC/KRW는 155,199,200 KRW에 거래되었습니다.
총평: 국내 증시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경기 민감도가 높은 업종은 투자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는 종목이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주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금리 인상에 따른 수혜를 받을 금융 업종은 주목할 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