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1일 일간 경제 리포트 – 오후
## 긍정적 흐름 속 변동성 확대: 한국 및 글로벌 시장 분석 (2025년 7월 11일)
* 한국 증시 강세: 코스피는 1.58% 상승, 3,183.23으로 연고점 경신을 기록하였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유가증권시장 3조 1220억 원)가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 순매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순매수(3조 원)와 상장채권 순투자(3조 6000억 원)는 시장의 긍정적 전망을 뒷받침합니다.
* 미국 증시 상승: 다우존스(+0.49%), S&P500(+0.61%), 나스닥(+0.94%)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개장 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혼조세를 보였으나,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미국 AI 전력 핵심 인프라 ETF는 나스닥100 및 S&P500 지수 대비 고수익률(40% 이상)을 기록하며, 해당 분야의 투자 매력을 보여주었습니다.
* 거시경제 지표 및 정책: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의장 교체 검토 및 2차 관세 부과 가능성은 시장 변동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고금리 고물가 상황을 고려, 건설업 침체 우려를 제기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의 순자산 5000억 원 돌파는 은행주에 대한 투자 심리를 반영합니다.
* 세계 경제 동향: 미국의 구리 관세 부담 증가와 일본 토요타의 엔비디아 자율주행 기술 도입 전망은 각국의 산업 동향 변화를 보여줍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USD/KRW는 1373.00원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였고, JPY/KRW는 9.3964원에 마감했습니다. 비트코인은 1억 5천만원 부근에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총평: 한국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세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으나, 미국의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향후 연준의 금리 결정과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의 움직임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대 종목/분야는 미국 AI 관련 기술주와 국내 금리 인하 수혜주, 우려 종목/분야는 관세 영향을 받는 수출 업종 및 건설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