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보고

2025년 07월 02일 일간 경제 리포트 – 오후

## 2025년 7월 2일: 글로벌 경제 시장의 엇갈린 흐름과 불확실성 증대

* 한국 증시: 코스피는 0.58% 상승 (3,089.65 마감), 코스닥은 0.28% 상승 (783.67 마감)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과 박스권 탈출 기대감이 공존하며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 미국 증시: S&P 500 및 나스닥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S&P 500: 6,204.95, 나스닥: 20,369.73)하며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다우존스 지수 또한 0.63% 상승 마감했습니다.

* 미국 금리 및 통화정책: 연준 FOMC의 금리 인하 전면 재조정 가능성 시사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비판관세 정책의 금리 인하 영향에 대한 파월 의장의 언급은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미국 고용지표는 향후 연준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국 무역: 미국-대만, 인도네시아 무역 협상 합의에 근접하며 긍정적 신호를 보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일본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언급은 시장에 물가 충격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미국-캐나다 무역 협상 재개 기대감 또한 시장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거시경제 지표: 금리 하락 기대감주택 거래량 증가에 따라 수도권 중심의 주택담보대출 확대가 예상되며,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환율 및 암호화폐: USD/KRW는 1348.50원, JPY/KRW는 9.377282원, BTC/KRW는 144,670,400원으로 거래되었습니다.

총평: 현재 시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무역 협상의 불확실성이라는 상반된 신호 속에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정책 방향과 미중 무역 분쟁의 향방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택 관련 종목은 금리 하락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가계대출 규제 강화 가능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반면 수출 기업들은 미중 무역 분쟁 및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