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6월 28일 일간 경제 리포트 – 오전
## 긍정적 시장 심리 확산: 미국 증시 신고가 경신 및 국내 경제 지표 호조
* 미국 증시 강세: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에 힘입어 다우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상승세를 기록, 나스닥은 0.54% 상승하며 20,276.93에 거래를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나스닥과 S&P500은 신고가를 경신하며 강한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5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0.2% 상승을 기록했으나, 6월 미국 소비자 경제 심리는 크게 호전되어 긍정적 신호를 보였습니다. 장 초반 나스닥 지수는 20,247.45, S&P500 지수는 6,165.13을 기록했습니다.
* 한국 증시 활황: 코스피 지수는 장중 3100선을 돌파하였고, 코스닥 지수는 800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이재명 내각 구성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6월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20으로 상승,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서울 및 수도권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2025년 농어촌 삶의 질 지수 평가에서 호남 지역이 전국 4위를 차지하였고, 2024년 한국지방자치경쟁력지수에서도 호남이 1위를 기록하는 등 지역 경제의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 금리 및 정책: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9월 인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반면 한국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저신용 중소기업의 신용 차별화는 심화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노사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주노총 등은 14.7% 인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환경 규제 강화 움직임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인권위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60% 감축을 권고했습니다.
* 세계 경제 동향 및 환율: 지정학적 및 무역적 긴장 완화는 전반적인 시장 안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USD/KRW 환율은 1361.28에서 1364.31로 상승하였고, JPY/KRW 환율은 9.377에서 9.41로 상승하였습니다. 비트코인(BTC/KRW)은 145,098,600에서 146,210,500까지 상승 후 145,159,000으로 마감했습니다.
총평: 현재 시장은 미중 무역 협상 진전 및 국내 경제 지표 호조에 힘입어 긍정적 분위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저신용 중소기업의 어려움과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 등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향후 IT, 건설,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며, 반대로 저신용 중소기업 관련 종목은 투자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